라벨이 전세사기인 게시물 표시

오늘 쿠팡 특가

전세 사기 예방하는 임대인 정보 확인법 - 최신 가이드

이미지
전세금 수억 원이 한순간에 날아갈 수 있다면 어떨까요 ? 최근 깡통전세와 전세 사기 뉴스가 연일 보도되면서 , 많은 세입자들이 불안해하고 있습니다 . 하지만 걱정만 하고 있을 수는 없죠 . 이제 , 전세 계약 전 임대인 정보 확인은 선택이 아닌 필수인 시대입니다 .  이 글에서는 최신 가이드 버전으로 임대인의 신뢰도부터 부채 현황까지 , 놓치면 안 되는 체크 포인트를 모두 정리했습니다 . 1. 이런 임대인은 위험하다 ! 주요 위험 신호 1) 과도한 대출이 걸린 주택 근저당 설정액이 시세의 80% 이상 여러 금융기관에 중복 담보 설정 압류나 가압류가 걸린 상태 2) 의심스러운 임대인 행동 계약을 급하게 재촉하는 경우 신분증이나 등기부등본 확인을 거부 전세보증금반환보증 가입을 꺼리는 태도 2. 임대인 정보 , 이것만은 꼭 확인하자 1 단계 : 기본 소유권 확인 확인 항목 은? -해당 주택의 실제 소유자인지 -계약 당사자가 본인인지 ( 대리인의 경우 위임장 필수 ) -소유권 이전 이력 2 단계 : 권리관계 파악 중요 포인트 는? -근저당 , 전세권 , 임차권 등록 현황 -압류 , 가압류 , 가처분 등 강제집행 관련 사항 -선순위 권리자 존재 여부 3 단계 : 재정 상태 점검 체크 리스트 는? -세금 체납 여부 ( 임대인 동의서 필요 ) -다주택자 여부 -임대사업자 등록 상태 3. 어디서 임대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을까 ? 1) 대법원 인터넷등기소 ( 필수 ) 👉웹사이트 바로가기  :  인터넷등기소 대법원 인터넷등기소에서 확인 가능 정보 는? -소유권 현황 -근저당 , 전세권 등 권리관계 -압류 , 가압류 내역 -활용 팁 : 등기부등본은 반드시 계약 당일 또는 하루 전 최신본으로 발급받으세요 . 2) 한국부동산원 전세사기예방서비스 👉웹사이트  바로가기 :  한국부동산원 한국부동산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? -깡통전세 위험도 분석 -지역별 전세가율 정보 -전세 시장 동향 3) 국세청  홈택스 ( 세금 체납 확인 ) ...